“이제 출퇴근 지옥철에서 숨 좀 제대로 쉰다?”… 지하철 밀집도 심각하면 무정차 통과 논의 중

Photo of author



안전사고 방지 위해 무정차 통과 고려
열차 혼잡도 ‘정략적 측정 관리’
혼잡도 170% 이상이면 ‘심각’ 단계 발령
‘김포골드라인’ 열차 5편 추가 편성
출퇴근-무정차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지하철 내부 밀집도가 심각할 경우 무정차 통과 여부를 필수 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밀집도가 심각할 때 각 지방자치단체는 소관 역사의 혼잡 상황에 대해 안내하고,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해 버스 등의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28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파가 집중되어 밀집도가 심각하다고 판단될 경우 수도권 지하철 혼잡 관리에 착수한다고 전했다.

정부는 그동안 김포골드라인 등 혼잡도가 높은 노선의 운행 간격을 단축시키고 정차 역사를 조정하며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매년마다 하루 평균 이용객이 증가하게 되면서 혼잡도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하철
사진=연합뉴스

특히 서울 지하철 4, 7, 9호선의 경우 가장 혼잡한 시간대인 오전8시~8시30분 까지는 평균 혼잡도가 150%를 넘어서고있다. 나아가 환승역으로 승하차가 많은 신도림, 잠실, 고속터미널, 강남 등 지하철역 혼잡도는 훨씬 더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을 개정하여 역사, 열차 혼잡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역사의 혼잡도는 승강장, 통로, 계단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적정 인원 대비 이용객 수로 정의하고, 열차의 혼잡도는 열차 탑승 기준인원 대비 실제 탑승 인원의 비율로 정의한다.

이와 관련해 비율이 130% 이하는 ‘보통’이고, 130~150%이면 ‘주의’, 150~170%면 ‘혼잡’, 170% 이상이면 ‘심각’ 단계로 관리할 전망이다. 혼잡도의 경우 CCTV와 통신사, 교통카드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수집한다.

지하철
사진=겟티이미지뱅크

정부는 ‘심각’ 단계에 이르면 철도 비상사태에 준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철도 운영기관이 무정차 통과 여부를 필수적으로 검토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도시철도 대형사고 위기 대응 표준·실무 메뉴얼을 수정해 상반기 중 시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인파가 밀집되어 사고가 우려되는 운행 구간이나 역사 등 혼잡 상황에 대한 내용을 재난안전문자를 통해 안내해야 한다.

이와 함께 서울시에서는 275개 역사에 서울교통공사 직원 등 현장 관리인력 855명을 배치하여 동선 분리, 계도, 응급상황 조치를 하기로 했다. 또한, 역사 시설 개선을 통한 밀집도 관리와 환승체계 개편에 나선다.

정부는 신설할 철도노선에 대해 기본계획 단계 부터 대도시권 환승역의 환승 시간, 거리 등을 먼저 검토하여 이용자 동선을 단축할 계획이다.

지하철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 장관과 시·도지사는 ‘철도 및 도시철도 기본계획’ 수립 시 이용자 환승 편의에 미치는 요인인 노선의 배치, 역사 위치 등을 사전에 검토해야 한다. 올해는 강동·하남·남양주선과 대구엑스코선의 환승 편의를 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밀집도가 높은 서울 지하철 9호선 등과 같은 노선은 열차의 운행 횟수를 늘리고 추가로 열차를 도입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또, 서울 지하철 2, 3, 5호선의 경우 예비 열차를 통해 올해 상반기 중 운행 횟수를 늘릴 계획이다. 9호선의 경우는 내년에 8편을 추가로 투입한다.

특히, 혼잡도가 가장 높은 김포골드라인의 경우 열차 5편을 추가로 편성하게 되는데, 그 시기가 원래는 내년 12월에서 9월로 앞당겨지기도 했다.

한편, 기사를 접한 누리꾼들은 “출근할 때마다 지옥이었는데 이제 좀 나아지려나?”, “지하철 못타면 버스는 더 타기 힘들텐데 오히려 더 혼잡해지는건 아닌지…”, “무정차 통과면 혼잡도 나아질때까지 계속 기다려야하나? 출근길 더 지옥일 지도…”, “환승역은 진짜 개선해야되긴 한다 너무멀어…”, “김포골드라인 차량 빨리 좀 늘려주세요” 등의 다양한 반응들을 보이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What’s your Reaction?
0
0
0
0
0
김성민 기자
financemin@finance-news.co.kr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