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中 CATL와 8조원 규모 프로젝트 착수
니켈 채굴부터 양극재 생산까지

세계 최대 니켈 보유국 인도네시아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당초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과 중국의 CATL을 양대 축으로 하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으나, 최근 한국을 배제하고 중국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이는 글로벌 배터리 산업 지형에 상당한 변화를 예고하는 중대한 결정으로 평가된다.
60억 달러 규모의 메가 프로젝트 착수

인도네시아는 중국 최대 배터리 기업인 CATL(닝더스다이)와 함께 60억 달러(약 8조2천억원) 규모의 대규모 전기차 배터리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바흘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의 발표에 따르면,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이 29일 북말루쿠주 동부 할마헤라에서 진행되는 통합 전기차 배터리 프로젝트 기공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배터리 공장 건설을 넘어서는 종합적인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특징이다.
광산 채굴부터 시작해 제련소 운영, 고압산 침출(HPAL) 공정, 전구체 및 양극재 생산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제조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수직계열화된 생산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당초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0년 니켈 기반의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해 ‘Grand Package Project’를 추진하면서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을 핵심 파트너로 선정했다.
그러나 LG에너지솔루션 중심의 컨소시엄은 현지 인프라 부족 문제,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인 ‘캐즘(Chasm)’, 그리고 지분 구조를 둘러싼 갈등 등이 겹치면서 프로젝트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프로젝트에서 철수하게 되었다.
반면 CATL은 이번 통합 시스템 구축 외에도 인도네시아 국영 배터리 투자회사 IBC와 약 12억 달러 규모의 배터리셀 공장 건설을 추진하는 등 인도네시아 내 입지를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LG에너지솔루션의 자리를 중국 배터리 소재 기업인 화유가 대체하게 된 것이다.

인도네시아의 이번 결정은 단순한 사업 파트너 교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세계 최대 니켈 매장량과 생산량을 보유한 인도네시아는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 중이다.
라하달리아 장관이 언급했듯이, 이번 프로젝트는 “전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종류와 규모”로, 인도네시아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배터리 산업 생태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 기업들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인도네시아의 풍부한 자원과 중국의 기술력이 결합된다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경쟁 구도가 크게 재편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