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고 기름진 음식 쉽게 끊지 못하는 이유
고지방, 고당분 자주 섭취하면 뇌의 보상회로 변해
49명을 상대로 한 8주간의 실험결과

많은 사람들이 높은 확률로 자극적인 감각에 반응하곤 한다. 시각이나 청각 촉각 등 화려하고 임팩트있는 것들을 느꼈을 때 사람들은 열광하며, 미각 역시 마찬가지다.
싱겁고 밍밍한 것보다는 아무래도 초콜릿이나 과자, 기름진 음식같은 짜고 맵고 달달한 것들을 좋아한다. 왜 그러는 걸까?
최근 연구 결과를 통해 알려진 사실로 고지방, 고당분 음식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뇌의 보상 회로가 변해 무의식적으로 이런 음식을 찾는다고 한다.
28일 과학저널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서 독일 막스플랑크 신진대사 연구소와 미국 예일대 연구팀은 사람들에게 무작위로 고지방, 고당분 음식과 저지방, 저당분 음식을 먹게 하는 실험을 바탕으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비만과 뇌 도파민 기능 변화 간 관련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이런 변화가 특정인에게 원래부터 존재해 살이 쉽게 찌도록 만드는 것인지, 비만으로 인해 뇌 도파민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인지, 혹은 고지방, 고당분 음식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뇌 도파민 기능이 변화한 것인지 등은 아직까지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이에 연구팀은 고지방, 고당분 음식을 반복적으로 섭취 하였을 때 뇌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49명의 정상 체중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8주 동안 정상적인 식단 외에 한 그룹은 고지방, 고당분 요구르트를, 다른 한 그룹은 저지방, 저당분 요구르트를 섭취하도록 했다.
논문 제1 저자인 막스플랑크 신진대사 연구소의 샤밀리 에드윈 타나라자 연구원은 “고지방, 고당분 음식을 선호하는 경향은 선천적 또는, 비만으로 인해 생긴 것일 수도 있지만 뇌에서 이런 음식을 선호하도록 학습한 결과 일 수도 있다”고 밝혔다.
실험 전과 실험이 진행된 8주간 연구팀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두 그룹의 뇌 활동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관찰하고 체질량지수(BMI)와 콜레스테롤, 혈당, 인슐린 등을 측정 하였다.

8주 동안의 실험 결과 고지방, 고당분 음식을 섭취한 그룹은 고지방, 고당분 음식에 대한 뇌의 반응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동기 부여와 보상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도파민 시스템이 활성화 되었다.
하지만,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고지방, 고당분을 섭취한 그룹이 저지방, 저당분을 섭취한 그룹과 비교해서 체중이 증가하거나 하지는 않았고, 콜레스테롤과 혈당 등의 수치에도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지속적인 고지방, 고당분 음식 섭취로 인해 단 음식에 대한 뇌의 선호 경향이 시간이 지난 뒤에도 상당 기간동안 유지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논문 교신저자인 막스플랑크 신진대사 연구소 마크 디트게마이어 박사는 “뇌 활동 측정 결과는 과자와 칩 섭취를 통해 뇌가 회로를 스스로 재구성해 잠재 의식적으로 고지방, 고당분을 선호하는 법을 배웠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이런 뇌의 변화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고지방, 고당분 음식을 찾게 된다”면서 “연구의 요점은 뇌에 새로 생긴 연결은 쉽게 없어지지 않으며, 일단 무언가를 습득하면 그것을 단기간 내에 잊어버리지는 않는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기사를 접한 누리꾼들은 “나만 그런게 아니였네….”, “살찌는 이유가 뇌의 학습능력 때문이었군”, “살찌는 음식 생각 안나게 하는 약이나 개발되었으면 좋겠다.”, “8주동안이나 고지방, 고당분 음식을 섭취했는데 체중이 증가하지 않았다니 나는 금방 살찌던데…”, “몸에 안좋은거 알아도 살찌는 음식이 맛있는건 어쩔 수 없어”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