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0% 결혼 안해도 돼”
10, 20대 결혼, 출산에 가장 부정적
국민 5명 중 1명은 고립감 느껴…

우리나라 국민 절반인 50%는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욱이 10~20대의 경우 결혼 후 자녀가 필요 없다고 생각한 사람이 과반수가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2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만 13세 이상의 인구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의 비율은 50%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에 나머지 절반인 50%는 결혼을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이다.
성별로 따져보면 남성의 경우 절반 이상인 55.8%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 여성의 경우는 44.3%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나아가 결혼 후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은 65.3%로 집계됐다.

특히 10대의 경우 자녀의 필요성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수치를 보였는데,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10대의 비율은 41.1%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20대 역시 마찬가지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은 44.0%로 10대와 비교해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10대와 20대 중 과반은 결혼을 한다고 해도 자녀를 갖지 않아도 된다고 느낀 것이다.
30대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현재 결혼과 출산에 가장 적령기인 연령대이지만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은 불과 54.7%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정확하게 보여주듯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0.78명으로 관련 통계작성이 시작 된 1970년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렇듯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은 점차 변해가고 있어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도 올라간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다.

지난 2021년 기준 첫째 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평균 연령은 32.6세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20년 전인 2000년 27.7세보다 무려 5살 가까이 올라간 수준이다.
40대 초반 산모의 비중도 2000년 0.6%에서 약 20년이 지난 2021년도에는 4.4%까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더불어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전통의 핵가족 형태 역시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21년 기준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3명으로 2000년 대비 0.83명이 감소했다.
가구원의 비중을 따져보아도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3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3인가구는 19.4%, 전통의 핵가족 형태라고 볼 수 있는 4인가족은 14.7%에 그쳤다.
5명 중 1명 “외롭다”…연령대 낮을수록 스마트폰 의존도 높아…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중 ‘외롭다’라는 감정을 느낀 사람은 19.2%로 집계됐다.

5명의 국민 중 1명은 사회적으로 고립감을 느꼈다는 것을 의미하고, 특히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는 외롭다는 감정을 느낀 사람이 26.2%에 달했다. 나아가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낀 사람도 12.6%를 차지하고 있다.
‘자기 삶에 만족한다’고 답한 사람은 75.4%를 기록하고 있어, 나머지 야 25%는 자기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고등학교 학생들 중에서도 전반적으로 학교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한 사람은 51.1%에 그치고 있어 2년전 보다 8.2% 하락했다.
특히, 학교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한 사람들은 가구 월 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저소득 가구의 학생들은 비교적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는 연령대가 낮으면 낮을수록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10대(15~19세)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휴일 기준으로 2.6시간을 사용해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20대가 2.5시간으로 그 뒤를 이었다. 20대 이하의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은 60대 이상과 비교시 2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가구당 순 자산액 4억 5602만원
지난해 가구당 평균 보유자산은 5억 4,772만원 이고, 부채는 9,17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보유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 자산액은 4억5602만원인 셈이다.

지난 2021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은 (PIR)은 수도권 기준 10.1배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수도권에 집을 사려면 월급을 단 한 푼도 쓰지 않은 상태로 10년간 모아야 한다는 의미다. 수도권의 1인당 주거면적 역시 전국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우리나라의사회적 신뢰도를 살펴보면 19세 이상에서 국민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정부기관은 지방자치단체(58.8%)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24.1%에 그친 국회의 신뢰도는 전년 대비 10%이상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형사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보면 경찰이 49.6%, 법원이 47.7%, 검찰이 45.1%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