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세 친형의 극단적 선택
가족들 눈물 한 방울 안흘려…

친형에 극단적 선택에 가족 중 그 누구도 슬퍼하지 않았다는 사연이 전해져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가족도 본인이 1인분 할 때나 가족’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궁금증을 자아냈다.
글쓴이 A씨는 “친형이 2주전에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그런데 우리 가족들 중에 누구도 슬퍼하지 않는다. 눈물 한 방울 흘린 사람이 없었다.”고 밝혔다.
A씨에 따르면 형의 장례식이 끝난지 얼마 되지 않아 아버지는 바로 출근했고, 어머니 또한, 다음 날부터 일상생활로 복귀하셨다. 게다가 A씨는 장례식 때 경조사 휴가조차 쓰지 않고 퇴근 후 잠깐 장례식장에 들렀다고 전했다.

이어 A씨는 “우리 가족이 사이코일까? 그건 아니다. 그럼 왜 이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형이 모지리 병X이었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A씨는 “형은 39살때까지 한번도 직업을 가져본 적 이없고 휴대전화 요금, 월세, 식비 전부 내가 냈다”고 토로했다.
계속해서 A씨는 “형은 공무원 시험을 오랫동안 준비했지만 결국 실패했고 그냥 백수로 굳어버렸다.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한 10년 정도 했다”고 말하며 말 그대로 1인분을 못하는 새X. 평생을 기생하던 X. 내 인생 전부가 그 새X를 위해 희생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강조했다.
A씨는 “형이 극단적 선택으로 죽었다는 걸 알았을 때 충격이나 슬픔은 없었다. 오히려 머리에 제일 먼저 떠오른 생각은 ‘드디어!’ 였다.”며 “엄마와 아빠도 역시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으셨다. 그냥 무덤덤하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부모님은 두 분 모두 일상으로 복귀 하셨다. 아빠는 족구 동호회 여전히 잘 다니시고, 엄마도 배드민턴 치고 여행 잘 다니시는 등 취미생활 잘하고 계신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A씨는 “가끔 퇴근 후 피자 사 들고 가면 집안에 웃음꽃이 핀다. 드디어 정상적인 가정이 된것 같다”고 말하며 자신의 감정을 숨김없이 표현하기도 했다.
한편, 기사를 접한 누리꾼들은 “부모는 몰라도 자식 잃은 건 얘기가 다르다 부모님 속은 다를 수 있다.”, “아무리 그래도 친형 죽었는데 심하다.”, “남의 가정사에 참견하는거 아니다.”, “오히려 하루종일 있던 사람이 없어지면 더 신경쓰이는법”, “저렇게 말해도 순간 훅 몰려올 수 있다 가족들 상담한 번 받아야 되는거 아닌가” 등의 반응으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