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초로 패션 명문 벨기에 앤트워프 왕립 예술학교 졸업해
사업 실패로 빚을 청산한 것이 얼마 되지 않았다고 고백하기도 해 충격 안겨

지난 23일, MBN 프로그램 ‘특종세상’에 출연한 황재근이 자신의 다사다난한 인생에 대해 고백했다. 과거 자신만의 브랜드를 과감하게 런칭했지만 결국 실패하면서 어려운 시기를 겪었음을 밝힌 황재근.
그는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것이 필요하다”며 입을 뗐다. 이어 “패션쇼도 해야하며, 사무실도 있어야 하고 쇼룸도 렌탈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생산비와 쇼비가 있어야 하지만 돈이 없으니 전부 대출을 받았다”고 회상했다.
황재근은 “나중가서는 카드, 보험 대출을 다 받아 더 받을 것이 없었지만 옷이 많이 팔리지도 않았고 뉴욕, 홍콩, 싱가폴, 이탈리아까지 갔었지만 결국 돈을 갚지 못해 부도가 났다”고 털어놨다. 그는 나중에는 3억원에 달하는 빚 독촉이 들어오며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해야할 정도로 힘들었다고도 전했다.

그러던 중 가면 만드는 일을 하면서 부터 빚을 갚아나갈 수 있게 되었다고. 황재근은 “7년여 간 가면을 1천개 넘게 만들며 유명세를 많이 탔고 이를 통해 디자인 프로그램, 행사, 광고가 들어와 일을 많이 하면서 결국 빚을 다 갚을 수 있게 되었다”고도 이야기했다.
이어 황재근은 어머니의 묘소를 찾아 “곧 엄마가 좋아하는 꽃이 필거다”라며 인사했다. 그는 “어머니도 결혼 전 패션디자이너로 활동하셨다보니, 본인의 철학도 있으셨고 멋쟁이에다 패셔너블 하셨다, 자식들에겐 늘 좋은 옷을 사주셨었다”고 이야기했다.
또 “막내아들은 나의 꿈을 지원하기 위해 돈을 아껴가며 유학을 지원해 주셨다”고도 전했다. 그는 “어머니가 시차를 잘 모르셔서 항상 새벽 3~4시 경에 전화하셨었다, 어느 날 큰 누나에게 전화가 와서 쎄한 느낌이 들었는데 엄마가 의식이 없으시다는 청천벽력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고 이야기했다.

급거 귀국하려 했지만 백만원 남짓으로 생활하던 그가 왕복 푯값인 2~3백만원 가량의 돈을 마련하긴 쉽지 않았을 터.
이에 황재근은 같은 반 급우 중에 일본의 준 재벌집 아들에게 부탁을 했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친하지 않았지만 가서 어머니가 위독하신데 푯 값이 없다, 돈을 좀 빌려줄 수 있겠느냐고 털어놨더니 바로 돈을 빌려주더라, 그래서 한국에 왔지만 이미 장례식이 다 끝난 뒤였다”고 당시를 회상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복면가왕 마스크는 그의 손길로부터 만들어져, 황재근의 화려한 이력
황재근은 한국의 패션디자이너로 현재 ‘ZE QUUN’이라는 브랜드를 운영 중이다. 벨기에에서 유학하던 당시 외국인들이 자신의 이름을 발음하기 힘들어 만든 표기법이 그 유래라고 전해진다.
그는 홍대 미대 도예과를 졸업 후 입학과 졸업이 모두 어렵다는 벨기에의 앤트워프 왕립 예술학교를 한국인 최초로 졸업한 경력의 소유자이다. 현재는 복면가왕의 가면 디자이너로서 활동 중이며, 그의 가면 디자인에 업계 사람들은 화려한 디자인이 꼭 황재근스러운 느낌이다라고 평할 정도.

7회 분부터 참여하며 가면을 만들었으며 가창력이 좋은 도전자일수록 가면에 상당히 힘을 준다고 전해진다. 하현우가 Lazenca Save Us 곡을 연습하는 것을 듣고 기존 노안 프링글스 가면에서 급거 디자인을 변경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다.
이 이야기를 접한 네티즌들은 “방송에서 봤을 때는 전혀 이런 어려움이 느껴지지 않았는데, 이야기를 들으니 정말 마음이 짠하다”, “앞으로 브랜드도 복면가왕도 계속 승승장구했으면 좋겠다”, “이런 사람들이 주목 받고 유명해져야 꿈을 꾸는 아이들이 나올 것이다, 응원한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