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동차 부품 관세 확대
25% 추가 관세 대상 늘려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 비상

한국 자동차 업계가 미국 정부의 새로운 관세 방침에 잔뜩 긴장하고 있다.
수출 핵심인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고율 관세가 더 많은 품목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이는 미국 현지에서 완성차를 조립하는 기업들도 영향을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국내 부품업계 전반에 걸쳐 충격파가 번지고 있다.
미국, 관세 부과 대상 확대 예고

이번 조치의 핵심은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이 마련한 새로운 절차다. 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동차와 관련 부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이후, 특정 부품에 대해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세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는 오는 7월 1일부터 관세 적용을 요청할 수 있다. ITA는 이를 분기별로, 즉 매년 1월·4월·7월·10월마다 정기적으로 접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후 60일 안에 각 부품에 대해 관세를 적용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현재도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전자 부품 등은 기존 관세에 추가로 25%의 관세가 붙는다. 하지만 이 리스트에 새로운 부품이 더해지면, 한국 업체들의 대미 수출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한국 부품업계 ‘2차 타격’ 현실화

문제는 이 조치가 단기적 이슈가 아니라는 점이다. 상무부가 분기마다 업계 요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만큼, 관세 대상 품목이 꾸준히 늘어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부품 공급에 의존하는 완성차 기업과 해외 조립 공장 운영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미국 내 공장에서 조립을 진행 중인 한국 자동차 브랜드들은 현지 부품 수입 비용이 급증할 경우, 전체 생산 단가를 높일 수밖에 없다. 국내 부품업체들은 가격 경쟁력 약화로 주문 감소에 직면할 수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 수출되는 핵심 부품들이 점차 관세 리스트에 오를 가능성이 있어 우려가 크다”며 “부품 하나하나가 비용과 직결되는데, 이것이 누적되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긴장감을 감추지 않았다.
철강 이어 가전도…끝없는 보호무역

자동차 부품 외에도, 이미 다른 산업군에서 고율 관세 확대 조짐은 나타나고 있다. 상무부는 지난 12일, 50% 관세가 부과되는 철강 파생제품 명단에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등을 추가했다. 미국 내 관련 기업의 요구에 따른 결정이었다.
이 조치로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대형 가전업체들도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철강에서 시작된 미국의 무역 장벽이 자동차와 가전까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셈이다.
백악관도 이 흐름을 멈출 생각은 없어 보인다. 현지시간 지난 26일,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다음 달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할 수도 있다”고 밝혔지만, 결정은 대통령의 몫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한편 앞서 미국은 지난 4월 9일,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에 대해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일방적으로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 유예한 바 있다. 그 유예기한이 종료되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