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에 랜드로버까지”…전국 1만 4천 차주들, 이제 어떡해요?



4개 제조사 19개 차종
안전 결함으로 대거 리콜
화재부터 에어백까지 위험
Hyundai LandRover Recall
디스커버리4 (출처-랜드로버)

국토부는 지난 25일 견인, 화재, 에어백, 주차 브레이크 등 다양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문제의 차량은 재규어·랜드로버, 현대차, 지엠(GM), 지에스글로벌 등 총 4개 회사로 총 19개 차종, 약 1만 4708대가 리콜 대상이다.

내 차도 해당될까…총 1만 4708대 리콜

Hyundai LandRover Recall (2)
아반떼 HD (출처-현대차)

먼저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는 디스커버리4 3.0D 등 총 12개 차종 1만 878대에서 피견인 차량 연결장치의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 주행 중 견인 차량과 연결 부위가 분리될 수 있다는 판단에 7월 4일부터 리콜을 시작한다.

여기에 현대차의 경우 아반떼, i30 등 2개 차종 2555대에서 운전석 에어백 전개 시 과도한 압력 증가로 가스를 터뜨리는 장치가 손상될 우려가 발견됐다. 이로 인해 승객이 상해를 입을 수 있어 지난 10일부터 이미 리콜 조치가 진행 중이다.

또한 현대차 카운티 일렉트릭 모델 629대는 주차 브레이크 부품 설계 오류로 인해 경사면에서 주차 시 차량이 밀릴 수 있는 문제가 확인됐다. 해당 건은 6월 19일부터 시정 조치가 진행되고 있다.

버스도, 전기차도…GS글로벌과 GM 차량도 포함

Hyundai LandRover Recall (3)
카운티 일렉트릭 (출처-현대차)

지에스글로벌이 수입한 뉴 비야디 eBus-12 등 3개 차종 344대는 더욱 심각한 화재 위험을 안고 있다. 고전압 배터리 트레이 고정부의 내구성이 부족해 주행 중 배터리셀이 트레이와 접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이로 인해 절연 불량이나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전기차의 배터리 화재는 진압이 어렵고 유독 가스를 발생시켜 특히 위험하다. 해당 차량들은 지난 12일부터 리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엠아시아퍼시픽의 캐딜락 리릭 302대는 상대적으로 덜 위험하지만 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결함이 발견됐다. 인포테인먼트 제어 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계기판과 디스플레이가 꺼질 수 있다는 것이다.

Hyundai LandRover Recall (4)
뉴 비야디 eBus-12 (출처-BYD)

운전 중 계기판이 꺼지면 속도나 연료량 등 핵심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어 이 차량들은 오는 27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

국토부 관계자는 “차량의 결함으로 인한 사고 예방을 위해 반드시 리콜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차량은 즉시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점검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Hyundai LandRover Recall (5)
리릭 (출처-캐딜락)

한편 리콜 대상 차량인지 확인하려면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www.car.go.kr)를 방문하면 된다. 차량번호 입력만으로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파이낸 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