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잖던 모습 사라지더니 “내가 알던 車 맞나?”…더욱 날렵해진 현대차 ‘디자인’



그랜저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헤드램프와 주간주행등 변화
아트 오브 스틸 디자인 적용
Grandeur facelift estimate
현행 그랜저 (출처-현대차)

단정하고 점잖던 이미지로 익숙했던 현대차 그랜저가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했다.

내년 초 출시 예정인 그랜저 부분 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예상도가 공개된 것으로 겉모습만 봐도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인상이다. 디자인 변화만 본다면 단순한 부분 변경이 아니라 ‘풀체인지급’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예상도를 공개한 유튜버 ‘뉴욕맘모스’는 “디자인은 물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까지 검토되고 있다”며 그랜저의 또 다른 변신을 예고했다.

전면은 슬림하게, 측면은 더 정제된 인상으로

Grandeur facelift estimate (2)
그랜저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출처-뉴욕맘모스)

이번에 공개된 예상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전면부다. 기존 ‘심리스 호라이즌’ 주간주행등의 기본 형태는 유지되지만, 양끝이 조금 더 길어지고 내부 그래픽은 아이오닉 6 페이스리프트와 비슷한 구성으로 바뀌었다.

하단부의 변화는 더욱 극적이다. 기존의 사각형 헤드램프 박스는 자취를 감추고, 슬림한 프로젝션 타입 LED 램프가 새롭게 배치됐다. 이 디자인은 최근 현대차가 강조하고 있는 ‘아트 오브 스틸(Art of Steel)’ 디자인 철학을 반영한 것이다.

라디에이터 그릴도 기존의 수직적이고 두꺼운 형상에서 벗어나, 크롬 가니시를 추가해 시각적으로 나뉘는 구조를 취하면서, 대부분의 면적은 막혀 있는 형태로 구성됐고 범퍼는 스키드 플레이트와 에어 인테이크가 새로 배치돼 보다 입체적인 느낌을 준다.

Grandeur facelift estimate (3)
그랜저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출처-뉴욕맘모스)

측면 역시 디테일의 변화가 눈에 띈다. 사이드미러에 붙어 있던 방향지시등은 사라지고, 그 자리를 펜더 쪽으로 옮겼다. 이는 쏘나타나 제네시스 라인업에서 이미 사용된 방식으로, 차량 외관이 한층 정돈된 인상을 주는 요소다.

뒷모습은 G90 닮은꼴?…PHEV도 기대감↑

Grandeur facelift estimate (4)
그랜저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출처-뉴욕맘모스)

후면 예상도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뉴욕맘모스는 방향지시등이 테일램프 내부로 흡수되고 램프의 두께가 넓어지는 동시에 블랙 하우징이 적용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는 고급 세단 제네시스 G90과 유사한 분위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새로운 파워트레인의 추가 가능성이다. 기존 가솔린 및 하이브리드 라인업에 더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이 검토되고 있다는 것이다.

신형 그랜저는 현행 파워트레인을 유지하는 동시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 추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추가될 경우 전기차와 내연기관 자동차 사이의 간극을 매워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시 시점과 인포테인먼트 변화도 주목

Grandeur facelift estimate (5)
현행 그랜저 (출처-현대차)

한편 신형 그랜저는 빠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에는 시장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워트레인 변화는 PHEV를 제외하고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차량 내부 시스템에서는 큰 변화가 예고돼 있다.

특히 현재 적용되어 있는 ccNC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한 단계 진화한 ‘플레오스 커넥트(Plaos Connect)’로 교체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기존 모델의 가격은 2.5 가솔린 기준 3,798만 원, 하이브리드 기준 4,354만 원부터 시작하는데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경우 소폭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파이낸 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