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주춤에도 전기차 34% 급증
중국·지리 질주, ‘캐즘 위기론’ 반박
완성차 업체들 전략 다변화 ‘속도전’

“전기차는 끝났다”는 섣부른 판단이 무색해졌다. 수요 정체라는 ‘캐즘’에 빠졌다는 우려와 달리, 전기차는 올해도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전 세계 전기차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3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순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모두 포함한 결과로 전기차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듯 보였던 시기, 시장은 오히려 그 가능성을 확신하듯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BYD 질주, 테슬라는 주춤

글로벌 판매량 1위는 중국의 BYD였다. BYD는 124만 2천대를 판매해 작년보다 43.2% 증가하며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눈에 띄는 변화는 지리그룹의 약진이다. 지리는 지난해보다 79.4%나 늘어난 61만 6천대를 판매하며 순위를 한 단계 끌어올려 2위에 안착했다.
반면 테슬라는 유럽과 북미에서의 판매 부진으로 13.4% 감소한 42만 2천대에 그쳤다. 유럽에서는 무려 34.6% 줄었고 북미도 9.1% 하락해, 결과적으로 지리에게 2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현대차그룹은 19만대를 판매하며 작년보다 11% 증가했지만 순위는 오히려 6위에서 7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하지만 질적 측면에선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됐다.
SNE리서치는 “현대차가 북미 시장에서 포드, GM, 스텔란티스 등 주요 경쟁사들을 일부 구간에서 앞지르며 존재감을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또한 기아의 EV4, EV2 콘셉트카를 잇달아 공개하며 대중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
중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

지역별 판매 현황을 보면 중국의 압도적인 존재감이 확연히 드러난다. 중국 시장에서는 작년보다 43.9% 증가한 361만 5000대가 판매됐다. 이는 올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62.2%에 해당하는 수치다.
유럽 시장에서는 26.2% 증가한 121만 5000대가 팔렸고, 북미에서는 4.0% 늘어난 55만 7000대가 판매됐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시장은 37.1% 증가한 31만 5000대를 기록했다.
이 같은 수치는 전기차 시장이 여전히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중국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이 글로벌 전기차 판매 증가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 차별화된 전환 속도

SNE리서치는 전기차 판매가 지역별로 정책, 공급망, 브랜드 전략에 따라 서로 다른 전환 속도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각 지역의 정부 정책과 인프라 구축 수준, 소비자 인식 등이 전기차 보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의미다.
완성차 업체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별 정책 변화 대응, 브랜드 다변화, 현지 기반 시설 확보, 에너지와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전략을 병행하며 패권 경쟁에 나서고 있다.
한편 전기차 캐즘론이 제기되는 가운데서도 실제 판매 데이터는 여전히 강력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전기차 시장이 일시적인 조정 과정을 거치고 있을 뿐, 장기적인 성장 트렌드는 변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시장의 급성장과 유럽 시장의 안정적인 증가세는 전기차 산업의 미래가 여전히 밝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만 테슬라와 같은 기존 강자들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어, 업계 판도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