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시간 개편, 놀라운 설문조사 결과 나와…” 연장 근로제도 활용하겠다는 기업이 고작 이 정도?

Photo of author



뜨거운 감자 ‘근로시간제도 개편방안’
기업들 상대로 설문조사 진행
54.6% 기업 ‘연차대신 금전보상 하겠다’
69시간-근로

최근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는 정부의 근로시간제도 개편방안이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이 가운데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정부가 근로시간제도를 개편해 연장근로 관리 단위가 확대된다고 하더라도 주 69시간의 장시간 근무는 지극히 예외적일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는 근로시간제도 개편방안에 대한 기업 의견 조사를 발표했다. 앞서 지난 6일 정부의 지침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연장근로 관리 단위를 ‘주’ 외에 ‘월·분기·반기·연’으로 확대해 일이 많을 때는 일주일간 최대 69시간 까지 몰아서 하고 일이 없는 기간에 푹 쉬자는 취지로 근로시간 개편안을 발표한 바 있다.

연장근로 개편안과 관련하여 302개의 회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존 ‘주’에서 ‘월·분기·반기·연’ 단위로 확대될 경우 56%의 기업이 바뀐 연장근로제도를 활용 하겠다고 답했다.

주69시간
사진=연합뉴스

연장근로를 활용하겠다고 밝힌 기업의 72.2%는 납품량 증가와 설비고장, 성수기 등의 특정 사유가 있을 때 일시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평상시에도 연장근로방안으로 활용하겠다는 응답 비율은 27.8%를 차지했다.

근로시간제도 개편방안이 시행 될 경우 주 최대 예상 근로시간을 묻자 응답 기업의 40.2%는 ’52∼56시간 미만’, 34.3%는 ’56~60시간 미만’이라고 각각 답했고, 약 4분의 3인 74.5%가 60시간 미만으로 활용하겠다고 응답했다. 계속해서 60~64시간 미만이 16.0%, 64~68식간 미만이 5.9%, 68시간 이상은 3.6%를 기록했다.

근로시간제도 개편방안이 시행 될 시 주 60시간 이상 근로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의 상당 수는 90.7%를 기록한 제조업이다. 이는 평소 제조업이 인력난이 심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의 규모로는 76.7%로 중소기업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또한, 연장근로 관리 단위가 확대 되면 월 단위로 운용하겠다는 응답이 46.7%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뒤를 이어 27.8%의 분기, 16.6%의 연, 8.9%의 반기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연장근로가 확대 시행되면 근로자의 건강권 보호역시 강화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이 나오고 있다.

주69시간
사진=연합뉴스

건강권의 보호 방안으로는 32.5%의 ‘선택가능한 더 다양한 건강권 보호제도 마련’과 30.8%의 ‘노사자율로 건강권 보호방안 선택’ 을 꼽은 기업들이 많았다.

연차와 관련해서 기업의 45.4%는 휴가로 전부 소진하겠고 응답했고, 54.6%의 기업은 금전보상으로 대체 하겠다고 조사됐다.

이에 연차를 소진하지 않고 수당으로 보상하겠다는 배경에 대해 ‘업무량이 너무 많아 휴가 사용이 어렵다’는 응답 비율이 32.7%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다.

또, 초과근로보상을 임금이 아닌 시간으로 저축해 휴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로시간저축계좌제를 ‘적극 활용(9.9%)’ 하거나 ‘제도로 활용 검토할 것(37.8%)’이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47.7%로 나타났다.

한편, 기사를 접한 누리꾼들은 “조선시대 노비냐”, “너나 일해라 69시간”, “출산율 더 떨어뜨리고 싶은가보다.”, “우린 인간이지 로보트가 아니다.”, “몰아서 일하는건 가능해도 몰아서 쉬는건 절대 불가능”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What’s your Reaction?
0
0
0
0
0
김성민 기자
financemin@finance-news.co.kr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