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서울시에 주소를 둔 거주자 중 코로나 19 “무증상자” 들을 대상으로 선제검사 무료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매주 월요일마다 선착순으로 접수를 받고 있으며, 해당 주에 신청접수가 마감되면 그 다음주 월요일날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유증상자들은 신청이 불가능 하며 관할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코로나19 선제검사 내용과 신청방법에 대하여 안내하겠습니다.
목차

서울시 코로나19 무료 검사
주소지가 서울시인 시민 중 '무증상'인 분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무료로 진행합니다.
무료 검사 진행 기간은 6월부터 12월까지 24주간 진행되고, 매주 월요일 접수를 받아 지정 검사 장소에서 무료로 검사를 받게 됩니다.
매주 선착순 천명까지만 접수할 수 있으며, 1인당 1회만 선제검사가 가능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검사 대상자 | 서울시에 주소를 둔 거주자 중 코로나19 “무증상자” |
검사 신청기간 | 2020년 6월 ~ 2020년 12월(24주) |
검사 장소 | 어린이병원, 은평병원, 서북병원,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동부병원, 서남병원(7곳) |
신청방법 |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
기타 | 주당 최대 1,000명 선착순 신청접수, 1인 1회만 선제검사 가능 |
검사대상자
주민등록지상 서울시에 주소를 둔 코로나 19 무증상자 시민만 가능합니다.
의사소견에 따라 코로나19가 의심되는 분들은 선제검사에 신청할 수 없으며, 해외방문이력이 있는 분들도 14일 이내에 코로나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신청할 수 없습니다.
이 외에도 확진 환자와 접촉, 코로나19 발생과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분들 등 '코로나19 유증상자' 분들은 신청이 불가능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검사신청기간
신청기간은 2020년 6월 ~ 2020년 12월 총 24주로, 선착순 접수가 마감되고 1인 1회만 선제검사 가능합니다.
매주 1천명만 선제검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해당 신청 기간에 접수하지 못한 분들은 그 다음주 월요일에 다시 신청하시면 됩니다.
검사장소
어린이병원, 은평병원, 서북병원,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동부병원, 서남병원 총 7군데 입니다.
주소 | 연락처 |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260(내곡동) ,02-570-8000 | |
서울시 은평구 백련산로 90(응암동),02-300-8114 | |
서울시 은평구 갈현로7길 49,02-3156-3000 |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 156 서울의료원,02) 2276 – 7000 | |
서울특별시 동작구 보라매로 5길 20,02-870-2114 |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무학로 124, 02-920-9114 |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이펜1로 20(신정동),1566-6688 |
서울시 코로나19 선제검사 신청방법
코로나19는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무료 선제검사로 '무증상'인 분들만 신청할 수 있고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서울시'로 되어 있어야 하며, 매주 1,000명만 접수를 받습니다.
신청기간은 6월부터 12월까지 총 24주 이므로 해당 주에 신청하지 못한 분들은 그 다음주에 다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한번 검사를 맡으신 분들은 중복해서 신청할 수 없으므로 신청 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시 접속
하단의 사이트를 클릭하여 신청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 서울시 사이트 - 신청하기
하단에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개인정보와 방문희망 의료기관 2곳을 선택하여 신청해주세요.
※ 방문희망 의료기관은 최소 2개소 이상 선택해야 하며, 검사수용 가능 규모를 고려하여 검사 병원 지정해줍니다. - 안내문자 발송
신청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서울시에서는 신청자에게 검사 안내 문자를 발송해줍니다. 문자 내용에는 검사일자, 지정병원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 병원방문
지정병원에 방문시에 신분확인 후 안내문자를 보여주면 코로나19 선제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유증상자의 경우 관할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검사결과 통보
서울시에서는 검사결과를 문자로 통보하며 양성이 나올경우에는 대응조치를 진행합니다.
복지 정보 더 알아보기
[생활정보] – 비말차단용 마스크 500원 구매성공하는 방법 (판매처 목록)
[복지제도] – 코로나 19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고용노동부 150만원)